개발자라면 한 번쯤 들어본 말, “Tomcat은 WAS가 아니다.”하지만 또 다른 자리에서는 “우리는 Tomcat으로 WAS를 운영한다.” 라는 이야기를 듣습니다. 도대체 Tomcat은 WAS일까요, 아닐까요?그리고 왜 실무에서는 Tomcat이 사실상 WAS처럼 쓰일 수 있을까요?1. WAS의 전통적 정의WAS(Web Application Server)는 원래 Java EE(지금의 Jakarta EE) 표준을 구현한 서버 소프트웨어를 의미했습니다.즉, 단순히 웹 요청을 처리하는 것 이상으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해야 했죠.트랜잭션 관리 (JTA)ORM (JPA, 과거엔 EJB 엔티티 빈)메시징 (JMS)보안/세션 관리DI, 의존성 주입 (CDI)IBM WebSphere, Oracle WebLogic,..
이번 글에서는 스프링 부트에서 제공하는 화이트라벨(Whitelabel) 대신 사용자가 정의한 오류 페이지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스프링 부트의 오류 처리 방법은 스프링에서 정의한 화이트라벨(Whitelabel)이 기본값으로 사용됩니다. 토이 프로젝트에서 사용하기는 문제가 없지만 멋진 웹 프로젝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사용자 정의 에러 페이지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Spring Boot에서 정의하는 오류 처리 방법 - feat. Whitelabel Spring Boot Features - Error Handling에서는 스프링 부트 오류 처리 방법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정의합니다. By default, Spring Boot provides an /error mapping that handl..
스프링 부트(Spring Boot)로 프로젝트를 만들면서 JSP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일까요? 바로 레거시 웹 프로젝트를 스프링 기반으로 업그레이드(변경) 해야 하는 경우입니다. 예전에 자바로 만들어진 웹 프로젝트들은 Thymeleaf, Velocity와 같은 템플릿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JSP(Java Server Page)로 만든 경우도 흔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최신의 기술(스프링 혹은 스프링 부트)을 사용하려고 한다면 스프링 부트에 JSP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JSP를 사용하는 스프링 부트 (Spring Boot) 프로젝트 만들기 현재 스프링 부트에서 추천하는 템플릿 엔진은 Thymeleaf, Freemarker, Mustache 등입니다. 그래서 손쉽게 몇 번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