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는 Really Simple Syndication라는 말로, 뉴스나 블로그의 콘텐츠를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RSS는 웹 사이트에 새로운 콘텐츠가 발행되면 사용자가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알 수 있게 제안된 방법입니다. 웹 버전의 유튜브 구독 기능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즉 RSS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좋아하는 여러 웹 사이트를 돌아다니지 않고 신규로 만들어진 콘텐츠를 편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RSS를 사용하면 좋은 점 - 정보를 바로 편리하게 제공 : 새로 만들어진 콘텐츠를 확인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방문하지 않아도 쉽고 편리하게 확인하고 볼 수 있습니다. - 개인형 맞춤 정보 배달 : 관심 있는 뉴스 및 새로운 정보를 해당 웹 페이지에 접속하지 않아도 실시간 직접 제공받는 맞춤 정..
오늘은 아직은 초안(Working Draft)이지만 알아두면 좋은 가상 클래스(pseudo-class)인 :where()와 :is()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where(), :is()는 CSS Selectors Level 4에 포함된 가상 클래스입니다. :where() 반복 선택을 줄이자 article h2, article h3, article p { color: blue; } CSS Selector를 사용해 article 요소의 h2, h3, p 문자 색을 바꾸는 예제 코드입니다. 이 예제는 article 요소 선택자를 중복으로 선언해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article :where(h2, h3, p) { color: blue; } 앞서 작성한 예제 코드를 :where()를 사용해서..
금주 목표 1일 1회 글쓰기 [완료] 책 다시 읽기 - 마케터의 문장 [완료] 구글 애널리틱스 사용법 정리 [실패] - 1일 1회 글쓰기 1일 1회 글쓰기는 달성했다. 2주 정도 주말을 포함해서 1일 1회 글 작성하기를 하고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더 글이 가지는 정보의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다 보니 글을 작성하는 시간이 줄기는커녕 늘어나기만 한다. 다른 목표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어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 된다. 아무래도 기술과 관련된 이야기다 보니 정리할 부분도 많고 말도 풀어서 쓰려고 하다 보니 더 어렵다. 날이 갈수록 고민은 풀리지 않고 쌓여만 가서 걱정이다. - 책 다시 읽기 [마케터의 문장] 마케터의 문장 책은 지난주 완독 후 이번 주에 한번 더 완독을 했다. 결론적으로 나쁘지 않은 선택이라..
자바스크립트는 변수 타입을 문자로 반환하는 함수인 typeof 연산자를 제공합니다. typeof 연산자는 undefined, null, boolean, number, string, symbol, object, function의 자바스크립트가 가진 7가지 변수 타입을 구분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문법 typeof operand typeof(operand) typeof 연산자는 타입을 확인해야 하는 피연산자 앞에 위치합니다. typeof는 연산자이므로 함수처럼 괄호[()]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즉 피연산자의 타입을 확인할 때는 typeof(operand)가 아니라 typeof operand를 사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typeof(operand)도 사용 가능한 문법이지만, 불필요한 괄호[()]를 넣은 사..
Javascript는 브라우저가 정의하고 사용하는 DOM(Document Object Model)을 다룰 수 있습니다. DOM을 처음 접하시거나 아직은 잘 모르겠다고 생각하시는 분은 DOM을 HTML의 구조적인 정의를 다루는 요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HTML과 DOM을 구체적으로 정의 내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HTML은 웹 페이지의 문서 구조를 생성하는 태그 시스템이고 DOM은 HTML이 가지는 문서 구조를 다룰 수 있는 인터페이스입니다. DOM은 HTML의 구조를 계층형 트리 형태로 정의합니다. 그리고 브라우저는 HTML이 가진 구조를 Style Sheet인 CSS를 사용해 화면을 그려 사용자가 쉽게 웹 페이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DOM은 원래 XML 문서를 정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였지만,..
CSS의 애니메이션을 사용해서 HTML의 blink 태그처럼 깜빡이는 효과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HTML의 blink 태그는 더 이상 지원을 하지 않는 방법이니 혹시라도 사용하고 계시거나 사용할 예정이라면 CSS의 애니메이션을 사용하시는 게 더 좋은 방법입니다. 커서처럼 깜빡이는 효과 만들기 - Blink Effect @keyframes blink-effect { 50% { opacity: 0; } } .blink { animation: blink-effect 1s step-end infinite; /* animation-name: blink-effect; animation-duration: 1s; animation-iteration-count:infinite; animation-timing-..
클라우드 컴퓨팅은 무슨 말일까요? 요즘은 IT 기술들을 사람들이 대중적으로 접할 수 있다 보니 클라우드 혹은 클라우드 컴퓨터와 같은 단어를 간혹 접하게 되는데요. 클라우드 컴퓨팅은 알아두면 유식해 보일 수 있는 IT 기술입니다. 비슷한 개념으로 유비쿼터스라는 개념이 있는데요. 얼핏 개념을 들으면 클라우드 컴퓨팅과 유비쿼터스는 매우 유사해 보이지만 실체는 엄연히 다른 개념을 가지고 있는 기술들입니다. 오늘은 클라우드 컴퓨팅이 어떤 개념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 및 정의 클라우드 컴퓨팅의 사전적인 의미는 인터넷 상의 서버를 통하여 데이터 저장, 네트워크, 콘텐츠 사용 등 IT 관련 서비스를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입니다. 즉 네트워크를 이용해 사용이 가능한 컴퓨터로 존재하..
웹 페이지에서 데이터를 보여주기 위해서는 서버와 통신을 해야 합니다. 통신을 하는 일련의 과정으로는 서버에 데이터를 달라고 요청을 보내고 결과를 받아와야 하는데요. 이때 서버와 주고받는 데이터를 쉽게 다룰 수 있는 방법이 XMLHttpRequest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웹 개발 방법 중 하나인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를 이야기할 때 사용하는 통신 객체이기도 합니다. 문법 const xhr = new XMLHttpRequest(); const method = "GET"; const url = "https://7942yongdae.tistory.com/"; // 요청을 초기화 합니다. xhr.open(method, url); // onreadystatechange..
HTML의 이벤트 중 beforeunload를 이용하면 브라우저 닫기나 새로고침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화면에서 저장하지 않은 데이터가 있거나,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페이지를 나가려고 할 때 알림을 주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예시로는 블로그에 글을 작성하다가 도중에 페이지를 나가려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 창을 보여 줄 수 있습니다. beforeunload 이벤트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페이지를 떠날 때, 페이지를 떠날 것인지 여부를 묻는 대화 상자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확인을 누르면 페이지는 닫히며, 취소를 누르면 페이지를 떠나지 않고 현재 페이지에 머무릅니다. 문법 beforeunload 이벤트를 사용해서 사용자가 페이지를 떠나는 것을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window.ad..
이번에는 Javascript를 통해 디바이스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디바이스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브라우저가 가지고 있는 navigator.userAgent를 사용합니다. 여기서 에이전트라는 의미는 사용자를 대신해서 웹 페이지를 보여주는 디바이스를 말하는데요. 바로 웹 페이지를 보실 때 사용하고 계신 도구를 말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PC를 이용해 웹 페이지를 보고 있다면 PC가 에이전트이고, 핸드폰을 통해 웹 페이지를 보고 계신다면 핸드폰이 에이전트가 됩니다. Navigator.userAgent 브라우저의 콘솔 기능을 이용해 navigagor.userAgent를 출력한 내용입니다. userAgent는 브라우저 이름, 브라우저 버전, 렌더링 엔진, 렌더링 엔진 버전, OS 등 현재 ..
오늘은 구글 애드센스 승인 후 애드센스 첫 달 수익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애드센스 승인 메일을 받은 지 약 한 달 정도가 지났습니다. 블로그 운영을 시작한 지 약 2개월이 되어가는 시점에서 블로그의 처음 모습과 지금 모습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많이 달라졌습니다. 4월 방문 통계 블로그를 시작한 첫 달인 3월은 방문자가 390명이었는데요. 4월 기준으로 방문자가 2,888명이네요. 아직은 블로그가 만들어진 시점이 얼마 되지 않고, 등록된 글의 숫자가 적다 보니 검색을 통해 유입이 되는 수가 적습니다. 검색을 통해서 유입이 된 비율은 19%, SNS는 7%, 기타가 74%로 기타가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네요. 포럼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블로그를 홍보했고, 여러 블로그를 구독하고 소통을 하다 보..
모든 엔티티를 작게 유지한다. 이 규칙이 가지는 의미 이 말은 50줄 이상 되는 클래스와 10개 파일 이상 되는 패키지는 없어야 한다는 뜻이다. 이 규칙을 책에서는 위와 같이 설명했다. 이 말은 어느 정도 공감하지만 실제로 만들어지는 응용 소프트웨어에서도 가능한가?라고 했을 때의 답은 잘 모르겠다. 하다못해 어떤 객체에 기능이 5줄짜리인 메서드가 10개만 있어도 이 객체에는 더 이상 기능을 추가하기 어렵다. 말이 10개의 메서드이지 객체를 만들다 보면 10개의 기능은 금방 추가된다. 여기서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은 객체가 가진 코드 줄의 수가 100줄만 이상만 돼도 그 객체가 무슨 행동을 하는지 파악하기가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 또한 패키지도 객체처럼 응집력이 있고 단일한 목표가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