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트랙볼 마우스를 쓰게 된 계기는 아시는 분이 본인은 사용이 어려우시다며 로지텍의 M570 마우스를 선물로 주셔서입니다. 트랙볼 마우스를 사용하는 게 처음에는 어려웠지만 일주일 가량 적응 기간을 거치 고나니 일반 마우스보다 유용한 부분이 많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이제는 트랙볼 마우스가 가진 편안함을 벗어날 수 없어 최근에는 켄싱턴 에르고 버티컬 트랙볼 마우스도 구매해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로지텍의 M570 마우스 사용기를 통해 트랙볼 마우스 경험기를 이야기 해 보려고 합니다. 새로운 경험을 만들어주는 트랙볼 마우스 그리고 로지텍 M570 일반적으로 트랙볼 마우스를 접하게 되는 경우는 잦은 마우스 사용으로 손목이 아프거나 결릴 때 인터넷 검색을 통해서입니다. 그래서 보통 사무실에..
HTTP는 네트워크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하는 규약(Protocol) 중 하나입니다. 이전에 웹에서 이야기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한 적이 있는데요. 웹 개발을 배우게 되면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을 주요하게 다루지만, 프로그래밍만큼 중요한 내용이 바로 웹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개념입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이 부분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HTTP 프로토콜은 왜 사용할까?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TCP/IP 위에서 돌아가는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웹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HTTP를 기반으로 통신을 하기 때문에 웹 개발자라면 기본으로 숙지해야 하는 개념이기도 합니다. 프로토콜이란 개념을 처음 접하셨다면 전문과 같은 규약 혹은..
블로그를 운영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에 가장 큰 이유는 글을 잘 쓰고 싶어서이다. 가끔은 생각을 정리하기 위해 글을 쓰고 싶을 때가 있는데 대체적으로 머릿속으로 생각하는 쓰고 싶은 글과 실제로 쓰고 있는 글은 매우 다르다. 그래서 이렇게라도 블로그를 운영하면 글 쓰기 실력이 늘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생각에 글 쓰기를 시작했다. 그런데 생각보다 쉽지가 않다. 무엇부터 어떻게 글을 써 내려가야 할지 막연하다. 어찌어찌해서 하고 있는 일을 주제로 삼기는 했는데, 기술적인 역량을 늘리기에는 나쁘지 않은 방법이지만 처음 목표로 했던 글쓰기 실력은 도통 나아질 기미가 보이질 않는다. 뭐 그뿐이라면 그러려니 하고 글을 쓰겠는데 그게 끝이 아니다. 막연히 글 쓰는 행위를 하기 위해 쓸데없는 주제를 글을 ..
이번 글에서는 자바를 이용해서 현재 디렉토리 경로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발을 하다 보면 간혹 현재 작업하는 경로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파일 업로드 폴더 위치를 확인하거나 환경설정 파일과 같은 특정한 파일들이 제 위치에 존재하는지 유무를 판별하기 위해서 말이죠. 때론 개발자의 작업 환경과 다른 서버 환경에서의 배포 이슈로 인해 자바가 인식하고 있는 현재 경로를 알아야 합니다. System.getProperty() 메서드를 사용한 현재 경로를 확인하는 방법 public class CheckDirectory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path = System.getProperty("user.dir"); ..
무슨 트랙볼 마우스를 사용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이전에 우연한 계기로 트랙볼 마우스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그때부터 지금까지 트랙볼 마우스의 편안함에 익숙해져 일반 마우스는 잘 사용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처음에 트랙볼 마우스로 접한 제품은 로지텍의 M570 제품인데 현재까지도 잘 사용 중인 제품입니다. 다만, M570의 경우 리시버를 사용하다 보니 USB 사용이 제한되는 경우 이용하기 힘들다는 제약이 있습니다. 일반적이지는 않을 수 있지만 맥북 제품들은 연결 포트 개수가 제한이 있어 허브가 필수인 것처럼 리시버를 사용해야 하는 M570은 사용에 제한이 있습니다. 사실 이건 새로운 마우스를 구매하기 위한 핑계 일뿐, 5년 이상 사용하다 보니 새로운 마우스가 가지고 싶은 마음에 켄싱턴 에르고 버티컬 트랙볼 마..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를 배울 때 가장 먼저 배우는 태그 중 하나가 바로 태그입니다. 태그는 anchor를 의미하는 태그로 한글로는 닻을 말합니다. 웹에서 태그 쉽게 쓰고 사용되지만, 가진 의미는 결코 가볍지 않은데요. 이번 글에서는 태그가 가지는 역할과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태그와 href 그리고 닻(anchor) HTML에서 태그가 가진 역할을 설명하기 위해 배와 닻(Anchor)의 그림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사람들은 본인의 상황에 따라 필요하거나 도움이 되는 정보를 찾기 위해 WWW(World Wide Web)라는 무수히 많은 서버가 연결된 네트워크를 돌아다닙니다. 이때 바다 위(네트워크)를 떠다니는 배(사용자)가 정박할 수 있도록 좌표(주소 혹은..
웹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서버와 클라이언트라는 단어를 자주 접합니다. HTML - Form을 이해하고 사용하자라는 글에서도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에 대해서 언급을 했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주제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서버는 무슨 일을 할까? 간단하게 말하면 서버가 하는 일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아, 요청한 일을 처리해 넘겨주는 일을 합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몇 번의 클릭 혹은 터치만으로 쉽게 인터넷을 이용합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알 수 없지만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이 이루어집니다. 먼저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에 있는 자원(Resource)을 요청하는 것이 시작점이 됩니다. 요청(Request)은 서버로 전달이 되고, 서버는 사용자..
이번에는 HTML의 element 중에서 form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form은 화면을 개발할 때 div만큼 많이 사용하는 요소 중에 하나입니다. 바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있어서 form이 가진 역할이 있기 때문인데요. form이 가진 의미(Semantic)를 생각해본다면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그러면 본격적으로 form을 이해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ML의 일반 요소와 Form의 차이 Name: E-mail: Message: HTML의 form은 무엇일까요? 위에서 제시한 코드를 보았을 때 HTML에서 사용되는 기존 요소들과 form의 차이점은 없습니다. 오히려 사용법이 다르지 않기 때문에 차이를 알 수가 없습니다. HTML의 일반 요소와 form의 가장 큰 차이점..
맥북 프로 사용하면서 구입한 물건 중 가장 효용가치가 높은 한 가지를 말하라면 단연코 노트북 스탠드입니다. 정확히는 노트북 스탠드 중에 마제스탠드라는 접착형 노트북 받침대입니다. 만족도가 매우 높아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맥북 프로 노트북뿐만 아니라 회사에서 사용하는 맥북 프로 m1 노트북에도 사용하는 제품입니다. 직업도 프로그래머이다 보니 맥북과 같은 노트북의 사용 빈도가 높아, 노트북을 편리하게 쓰기 위해 노트북 주변 기기들을 눈여겨보고 구매해서 사용하는 편입니다. 맥북만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노트북은 노트북 스탠드와 같은 눈높이 보조 제품을 같이 사용하지 않으면, 이용하는 데에 불편함이 따릅니다. 때론 목이나 어깨가 결리거나 혹은 구부정하게 등을 굽히거나 말이죠 노트북 스탠드를 구매하면서 고려했던 점 노..
스프링 부트(Spring Boot)로 프로젝트를 만들면서 JSP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일까요? 바로 레거시 웹 프로젝트를 스프링 기반으로 업그레이드(변경) 해야 하는 경우입니다. 예전에 자바로 만들어진 웹 프로젝트들은 Thymeleaf, Velocity와 같은 템플릿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JSP(Java Server Page)로 만든 경우도 흔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최신의 기술(스프링 혹은 스프링 부트)을 사용하려고 한다면 스프링 부트에 JSP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JSP를 사용하는 스프링 부트 (Spring Boot) 프로젝트 만들기 현재 스프링 부트에서 추천하는 템플릿 엔진은 Thymeleaf, Freemarker, Mustache 등입니다. 그래서 손쉽게 몇 번의 ..
지난 2021.05월에 이어 2021년 06월의 기술 블로그지표와 애드센스 수익을 확인해보겠습니다. 6월 같은 경우에는 개인적인 사정이 생겨 약 3주간의 공백기간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어떤 지표를 가지게 될지 개인적으로는 매우 궁금했습니다. 그럼 지난 6월의 블로그 지표와 애드센스 수익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6월 블로그 방문자 유입 분석 지난 5월에 블로그 방문객은 총 4,421명이고 6월의 블로그 방문객 수는 총 6,358명입니다. 5월과 6월을 비교하면 방문객이 1,937명 늘어났습니다. 5월에 늘어난 유입량 1,533명과 대비해서 많이 늘어나지는 않았지만, 3주라는 공백기를 감안한다면 좋은 수치라고 생각됩니다. 실제 6월의 운영 공백기가 반영될 7월달의 수치가 어떨지 궁금합니다. 이전에..
CSS(Cascading Style Sheets)는 워드 프로세서에서 사용하는 스타일 기능을 웹으로 가져온 것입니다. CSS를 사용하면 DOM(Document Object Model)에 스타일(Style)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정확히는 CSS를 사용하면 HTML 문서에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CSS는 HTML과 같이 사용되며, HTML에 정의된 태그(Tag)가 보여주는 디자인을 재정의해서 HTML의 시각적 요소를 담당하는 언어입니다. 예를 들어 주제롤 표현하는 이라는 태그를 보여주는 방법은 브라우저(Chrome, Safari, Firefox)가 정의하지만, CSS를 사용하면 이 표현되는 시각적인 정의를 바꿀 수 있습니다. CSS는 태그의 특성을 원하는 대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h1 { margi..